지난 7월 29일 외교부에서는 일본 주재 총영사 ‘ㄱ’ 씨가 부하 여직원 성추행 협의로 국내로 소환돼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발표했다.
한일간 경제전쟁이 발발된 상황에서 자국민을 보호하고 대일 외교전의 최 일선에서 싸워야 할 주일대사관에서 발생한 사건이어서 더 큰 충격을 주고 있고 빠르게 대처하지 못한 외교부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국 대법원은 지난해 10월, 11월 일본 강제 징용 피해자들이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 등 해당 일본 기업에 1인당 1억원씩의 배상을 명령했다. 이때부터 한일 갈등이 심화되어 비상이 걸려있었던 주일대사관내에서 총영사라는 사람은 그 당시에도 그 부하직원을 성추행 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국민들이 더 상심해 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2일 남관표 주일 대사가 주일 총영사들을 전부 불러 한·일 무역전쟁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등 주일대사관은 초비상 사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총영사는 해외동포 및 자국민을 보호하고, 영사 업무뿐 아니라 나라의 경제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자리이다. 현재 일본에는 오사카, 후쿠오카, 나고야, 삿포로, 센다이, 니가타, 요코하마, 고베, 등 8개 지역에 한국 총영사관이 있다.
재일대한민국거류민단 산하 청년회에서 봉사중인 교포 송 모씨는 전화 통화에서 “그 사건은 이미 동포사회에서 암암리에 소문이 나 있었던 일이다”면서 “지금 재일동포들은 한일 경제전쟁 와중에서 조금이라도 차별 피해를 입을까 숨을 죽이고 주시하고 있다”고 동포사회의 분위기를 전해왔다. 그 짧은 통화 내용에는 시집과 친정의 싸움 와중에 양쪽 눈치를 봐야하는 며느리의 심정이 있었고, 자국민을 위한 총영사관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었다.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ㄱ’ 총영사의 부하직원 ‘ㄴ’씨에 대한 성추행은 2017년부터 2년간 계속되었다고 한다. 올 5월말 수사에 착수한 경찰은 ‘ㄴ’씨는 지난해 성추행 사실을 외교부에 알렸지만 적당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그 총영사는 본부에 보고된 후에도 성추행을 계속했고, 자체적인 감사가 이뤄지지 않는다고 생각한 피해자가 권익위에 제소하면서 경찰이 나서게 되었던 것이다.
일본 우익단체들의 혐한 데모가 동포들의 안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고, 한일 갈등으로 동포들의 권익보호가 흔들리고 있는 시점에서 1년전에 보고를 받고도 조직을 재정비 하지 않은 외교부의 처사에는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
<"외교부, 이대로 좋은가?" 기강해이 도를 넘어>
그런데 외교부의 기강해이가 도를 넘는 사건이 발생한 것이 한두번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의 기강해이 사례를 살펴보면, ▷ 2017년 8월 한·파나마 외교장관 회담에서 파나마 국기를 거꾸로 게양 ▷ 2018년 11월 외교부 공식 영문 트위터에 체코를 ‘체코슬로바키아’로 표기 ▷ 2019년 4월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스페인 전략대회에선 구겨진 태극기를 세워 망신 ▷ 김도현 전 주베트남대사, 도경환 주 말레이시아 대사가 청탁금지법 위반과 갑질횡포 논란으로 해임 처분 ▷ 한국 비자 발급 브로커와 유착관계 의혹 등이 제기된 정재남 주몽골 대사 중징계 ▷ 2019년 5월 워싱턴 주미대사관 ‘ㄱ’ 참사관 외교비밀 유출행위 ▷ 2019년 7월 11일 김문환 전 에티오피아 대사가 부하 직원 성폭력 혐의로 징역 1년 실형 확정 등이다.
한일 경제전쟁 속에서, 그리고 굳건한 한미동맹이 절실한 시점에서 과연 집권 3년 차 대규모 개각 명단에서도 빠져 있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 대한 문 대통령의 신임이 어디까지 갈까 국민들은 지켜보고 있다.
dcknews.com 강남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