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모 방송국 소속 워싱턴 특파원 한 명이 어제(12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주미한국대사관에서도 비상이 걸려 그와 접촉 가능성이 있는 직원들을 선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총영사관 김봉주 영사(사건·사고 담당)에 따르면 “해당 특파원과 주미대사와의 간담회 형식의 접촉은 다행히 오래전에 있었기에 주미대사관 행정 마비는 없고, 총영사관은 본관과는 별개로 정상 업무를 하고 있는 중이니 동포들께서는 그리 염려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전해왔다.
해당 방송국에서는 “자사 특파원이 8월 3일 미열과 두통 증상을 느낀 뒤 6일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았고, 12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하면서, “해당 특파원 및 가족과 카메라 기자, 그리고 운전기사 등 특파원과 관련된 모든 직원들을 대사관과의 협력으로 자가격리와 조속한 검진을 받도록 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두통과 미열 등 증상이 사라져 재택근무 중이며 CDC(미 질병예방통제센터)의 메뉴얼에 따라 향후 2주간 자가격리와 재택근무를 이어갈 예정이다. 그러나 정확한 감염 경위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20만 명이 넘는 한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워싱턴 지역에는 대미 외교의 최일선인 주미대사관 소속 외교관과 파견 공무원들이 다수 거주하고 있어 외교부에서도 ‘코로나19’ 사태에 바짝 긴장하고 있는 중이다. 외교관이나 파견 공무원 가운데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올 경우 전반적인 대미 외교 전력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파견 외교관들과 수시로 접촉해야 하는 특파원에게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면 비상이 걸릴만하다. 해당 방송국에서 비밀로 부치지 않고 즉시 정보를 오픈하여 대책을 세울 수 있음에 다행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아무리 인권적 차원에서 개인 정보를 밝히지 않는 미국이지만 국익과 동포사회 안전을 위해서는 한국식 동선 추적을 통해서라도 해당 특파원의 정확한 감염 경위는 밝혀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