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Featured 세상만사

하버드 한인 유학생들, 위안부 강제 아니라는 교수 규탄

<사진> 존 마크 램자이어 하버드대 교수. (하버드대 홈페이지 갈무리/뉴스1)

“램자이어 교수의 글, 부정확하고 오해 소지 있어” 日 전범 기업 미쓰비시 후원 받는 게 아니냐는 의혹도

‘일본군 위안부는 성매매를 강제당한 성노예가 아니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한 존 마크 램자이어 하버드대 로스쿨 일본법학 미쓰비시 교수를 향해 하버드 한인 유학생들이 규탄의 목소리를 내고 나섰다.

7일(현지시간) 미국 하버드대학 신문 ‘하버드 크림슨'(Harvard Crimson)에 따르면 하버드 로스쿨 한국학회에서는 지난 4일 성명을 통해 램자이어 교수의 글이 “부정확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다”(factually inaccurate and misleading)고 비난했다.

6일 오전까지 해당 성명은 미국 전역 법대생들로부터 800명 이상의 서명을 받았다.

하버드대 학부 한인 유학생회에서도 성명이 발표됐다.

이들은 성명에서 “논문은 위안부가 자발적인 성노동을 한 것이라는 잘못된 전제에서부터 시작됐다. 이에 따라 위안부 피해자 분들의 아픔을 일본 정부가 책임질 필요가 없다는 결함투성이인 주장을 내세운다”며 램자이어 교수가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학생들의 반발에 대해 램자이어 교수는 논문에 대해 그들과 기꺼이 대화할 용의가 있지만 더 이상 이 주제에 더해 연구를 추구할 의도는 없다고 말했다.

2020년 7월 6일, 애난데일 ‘평화 소녀상’이 일본인도 아닌 같은 한민족에 의해 어처구니없는 봉변을 당했다.

신문은 램자이어 교수의 직함을 근거로 한국의 언론과 학자들이 ‘램자이어 교수가 일본 법인의 후원을 받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고도 보도했다.

대표적으로 호사카 유지 서울 세종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는 미쓰비시가 램자이어 교수에게 이런 역할을 맡기기 위해 교수직을 신설하고 하버드대에 기부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하버드대 학부 한인 유학생회 또한 성명에서 “램자이어 교수는 1998년 일본법학 미쓰비시 교수라는 직함을 받고 하버드 로스쿨의 종신직 교수로 임명됐는데 언론들에 의해 ‘대표적인 전범 기업’으로 불리는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기여한 기금으로 임명된 학자로서 일본 과거사 문제에 대해 얼마나 학구적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램자이어 교수는 이와 관련 ‘하버드 크림슨’과의 인터뷰에서 “미쓰비시 그룹이 이 자리를 지지하기 위해 1970년대 하버드대에 약 150만 달러(현재 약 16억)를 기부한 것으로 안다”며 “하지만 그런 조건이나 돈이 지금도 교수직과 연동되진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또 자신이 일본에서 자랐고 2018년 해외 일본문화 진흥자 표창인 욱일승천장을 받은 점이 이번 일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의혹이 나오는 데 대해서도 자신의 친구들 중 일본 정부를 위해 일하는 친구들이 있기는 하지만 절대적으로 그러한 연줄이나 수상이 논문에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해외 학자들도 램자이어 교수의 논문에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고 신문은 밝혔다.

이에 따르면 카터 에커트 하버드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램자이어 교수의 글이 “비참할 정도로 경험적으로나 역사적, 도덕적으로 부족하다”고 말했다. 에커트 교수는 그러면서 자신의 동료 앤드류 고든 하버드대 역사학 교수와 함께 램자이어 교수의 논문을 비판할 수 있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1990년대 시카고 대학에서 램자이어 교수가 가르친 수업을 들었다고 밝힌 알렉시스 더든 코네티컷대 일본한국사학과 교수도 “그것(이번 논문)은 개념적으로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신문은 다만 많은 학자들이 램자이어 교수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한편 일부는 그의 의견이 학문적 자유에 의해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한편 램자이어 교수는 오는 3월 출간 예정인 ‘인터내셔널 리뷰 오브 로 앤드이코노믹스'(International Review of Law and Economics) 제65권에 ‘태평양전쟁 당시 성(性)계약'(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게재했다.

이에 대해 최근 일본 닛케이신문이 요약본을 공개하면서 이번 논란이 촉발됐다.

조소영 기자 cho11757@news1.kr (기사제공 = 하이유에스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