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비행기로 한국을 방문 할 계획이 있다면 인천국제공항 이용 방식을 확인하고 가야 편리 할 듯하다. 헷갈리면 낭패를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이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시기에 맞춰 내년 1월 18일 문을 연다. 2001년 3월 개장한 지 16년만에 ‘투 포트(Two Port)’ 시스템을 갖추게 된 것이다.
신규 공항답게 제2여객터미널(T2)은 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 시설과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인다. 규모로도 지하 2층, 지상 5층 건물에 지붕 면적은 상암 월드컵경기장 전체 면적의 3배, 외장유리 면적은 잠실야구장 면적의 7배이고, 제1터미널(T1)과의 직선거리가 2.5 Km 나 떨어진 곳에 위치해 별개의 공항 하나로 보면된다. 당연히 탑승에 필요한 체크인, 보안검색 등과 세관검사, 검역 등 입국을 위한 모든 절차가 제1터미널과 별도로 이뤄진다.그러니 공항에 도착하기 전 비행기를 탈 곳이 기존 1터미널인지, 아니면 새로 생긴 2터미널인지를 미리 확인해야 한다.아니면 터미널 간 거리가 상당히 멀어 시간상 낭패를 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본인 차량으로 직접 운전하여 갈 때에는 터미널 입구가 맞는지 잘 확인하고,철도나 버스로 이동 할 때는 내릴 역이 어디인지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
만약 진입로를 잘못 선택하여 다른 터미널로 갔다면 그곳에 주차하고 철도나 버스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왜냐하면 자동차로는 15.3 Km 우회해야 하니 20분 이상 더 소요된다.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제2터미널>은 스카이팀 항공사 소속 <대한항공>과 델타항공, 에어프랑스, KLM 등이 사용한다.
기존 <1터미널>은 <아시아나항공>과 다른 외국항공사가 쓴다.
1터미널과 2터미널을 오가는 무료 셔틀버스도 5분 간격으로 운영한다. 소요시간은 약 15분 정도이다. 탑승 장소는 1터미널은 3층 출국장 8번 출입문 앞과 2터미널은 3층 4, 5번 출입문 사이이다.
KTX와 공항철도 개찰구도 별도로 만들어 혼란을 줄였다. 공항철도로는 1터미널에서 2터미널까지 약 6분(거리 5.8㎞)이 더 걸린다.
공항 리무진버스는 1터미널을 거쳐 2터미널에 도착한다. 다만 KAL리무진과 한국도심공항(서울역, 삼성동)에서 출발하는 8개 노선은 2터미널을 경유해 1터미널로 간다.
삼성동에 위치한 도심공항을 이용해 보신 분들은 얼마나 편리한지 잘 알 것이다. 이제 서울 이남지역에서 인천공항을 이용 하시는 분들도 편리하게 생겼다. KTX광명역에 도심공항터미널도 곧 문을 연다. KTX 이용객은 광명역에서 체크인 수속과 수화물 수속을 마친 뒤 리무진버스를 타고 공항으로 이동하면 된다. 광명역에는 출입국사무소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 7개 항공사가 입점해 있어 출국과 항공사 체크인 수속이 가능하다.
평창올림픽 기간 동안에는 2터미널에서 경기장과 가까운 진부역, 강릉역까지 KTX가 하루 16회 직행 운행한다. 2터미널에서만 가능하고 요금은 강릉역까지 4만700원이 책정됐다.
내년에는 인천국제 공항에 제2터미널 개장으로 인해 공항에 혼잡함과 줄서기도 줄어들고, 고향길도 편리해져서 넉넉한 여유있는 여행을 기대해 본다.
[인천공항공사 제공]
워싱턴 코리안 뉴스 = 강남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