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이 관계 회복 노력의 일환으로 지난해 철거한 공동연락사무소를 재건하고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8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익명의 한국 정부 소식통 3명을 인용,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10여 차례의 ‘솔직한’ 서한을 주고받으며 관계 개선 방안을 모색해왔다고 전했다. 그 결과 한국의 정보당국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간의 소통 채널이 개설됐다고 설명했다.
양측의 협의 과정에서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그 첫 단계로 남북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지난 주말 합의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남북 통신연락선은 지난해 6월 북한이 개성 소재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일방적으로 폭파한 지 413일 만인 지난 27일 복원됐다.
로이터는 다른 소식통을 인용, 남북한이 통신연락선 재개만 발표한 배경에는 북한이 연락사무소를 파괴한 사건에 대해 어떻게 사과할지 등의 사안과 관련해 진전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남북한이 문 대통령과 김 총비서 간의 정상회담도 추진 중이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일정 등 다른 세부사항은 거론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한 소식통은 “협상이 아직 진행 중이고 코로나19가 가장 큰 변수가 될 것”이라며 “대면 회담이 가장 좋지만, 상황이 나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다른 소식통은 북한이 코로나19를 이유로 대면 회담을 주저할 경우 화상 회담이 옵션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 소식통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북한 인권특사를 지명하지 않는 등 실용적인 접근법을 취한 만큼 김 총비서의 이런 움직임은 미국의 대화 제의에 응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일괄타결 대신 단계적 대응 방식을 추진하고, 인권특사 대신 핵협상 대표를 임명하는 등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가시적인 요소들이 있었다”며 “결국 미국이 대북 정책을 공표한 뒤 북한은 마냥 좌시할 수 없었기에 남북관계가 그 출발점으로 떠오른 것”이라고 부연했다.
강민경 기자 pasta@news1.kr (기사제공 = 하이유에스코리아 제휴사, 뉴스1)